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 모두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드웨어
하드웨어란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부분을 말합니다. 우리가 보고 만지고 있는 컴퓨터의 본체,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이 모두 하드웨어에 속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은 중앙처리장치(CPU), 기억장치, 그리고 입출력장치입니다.
1.1. 중앙처리장치(CPU)
CPU는 컴퓨터의 두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CPU도 세부적으로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그리고 레지스터로 나뉘어집니다.
제어장치는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순서대로 인출하고 해독한 후, 필요한 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내서 해당 장치가 주어진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합니다.
연산장치는 산술연산(사칙연산)과 논리연산(not, and, or, xor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 실행장치 또는 산술논리장치(ALU)라고도 불립니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안 사용할 값이나 연산의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고속 기억장치입니다.
1.2. 기억장치
기억장치는 프로그램과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뉩니다.
주기억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즉각적으로 수행되는 프로그램과 수행 시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합니다. 주기억장치에는 RAM(휘발성), ROM(비휘발성)이 있습니다.
보조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저장합니다. CPU와는 직접 정보를 교환하지 못하므로, 주기억장치를 통해 처리됩니다.
1.3. 입출력장치
컴퓨터에서 처리할 데이터를 외부에서 입력하거나 처리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이는 컴퓨터가 우리와 소통하는 창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입력장치: 인간이 사용하는 정보(문자, 숫자, 소리 등)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서 컴퓨터 내부로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예: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
출력장치: 컴퓨터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서 외부로 보내는 장치입니다. (예: 모니터, 프린터 등)
이렇게 하드웨어의 각 부분이 서로 원활히 협력하면서 컴퓨터는 우리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2. 소프트웨어
그렇다면 하드웨어는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입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게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명령어들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작성됩니다.
2.1. 시스템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다른 소프트웨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대표적으로 운영체제, 언어 번역기(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어셈블러), 장치 드라이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들은 컴퓨터가 우리가 원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2. 응용 소프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워드프로세서나 브라우저, 게임 등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2.3. 펌웨어
펌웨어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미들웨어라고도 불리우며, 하드웨어의 하위 시스템이나 장치를 제어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렇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서로 협력하며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우리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합니다. 그들 사이의 관계를 잘 이해하면 컴퓨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을 마치며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컴퓨터 데이터 표현 방법 (0) | 2023.06.18 |
---|